[불안증/대인공포증/사회공포증] 특정 공포증
1. 특정 공포증이란?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두려움이나 공포를 느끼고 회피하려고 하는 것을 ‘특정 공포증’, 또는 ‘특수 공포증’, ‘단순 공포증’이라고 한다. 특정 공포증은 아동과 청소년기에 가장 흔하게 진단되는 불안장애의 하나이다.
2. 특정 공포증의 진단기준
① 공포를 일으키는 자극에 노출되면 예외 없이 즉각적으로 불안 반응이 유발된다(DSM-Ⅳ는 아동의 경우 화를 내거나, 얼어붙거나, 또는 매달리는 반응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함으로써 발달에 따른 차이를 인정하고 있다).
② 청소년의 경우에는 본인 스스로 자신의 불안이 지나치거나 비합리적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DSM-Ⅳ는 아동이 이러한 특징을 보이지 않는다고 기술함으로써 역시 발달에 따른 차이를 인정하고 있다).
③ 아동이나 청소년은 공포 상황을 회피하려고 하며, 회피할 수 없을 경우에는 극심한 불안과 스트레스를 겪어야 한다.
④ 두려움이 현저한 심리적 불편을 일으켜야 하며, 아동의 일상생활, 학업, 또는 대인관계에 방해가 되어야 한다.
3. 특정 공포증의 하위유형
DSM-Ⅳ에서는 특정 공포증을 그 유형에 따라 동물형, 자연환경형, 혈액-주사-상해형, 상황형 그리고 기타의 다섯 가지 하위유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① 동물형 : 파충류, 쥐, 벌레, 고양기, 개, 곤충에 대한 공포
② 자연환경형 : 폭풍, 높은 곳, 물과 같은 자연환경에 대한 공포
③ 혈액-주사-상해형 : 피를 보거나 주사를 맞거나 기타 찌르는 검사에 대한 공포
④ 대중교통수단, 터널, 다리, 엘리베이터, 또는 폐쇄된 공간에 대한 공포
⑤ 기타 : 구토, 질식, 특정 음악, 광대, 풍선, 눈, 구름 등에 대한 공포
4. 역학
아이들은 발달하면서 여러 가지 대상에 대해 두려움과 공포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두려움은 정상적이며 대부분의 아이들에게 흔히 나타난다. 연구에 의하면 만 2~6세 아동들은 네다섯 가지 두려움을 갖고 있으며, 4.5일마다 한 번씩 두려움 반응을 보인다고 한다. 특히 6~9개월의 아동들에서는 낯선 사람에 대한 두려움, 만 2세경의 아이들에서는 상상 속의 대상에 대한 두려움, 만 4세의 아이들에서는 어둠에 대한 두려움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리고 전체 아동들의 10명 중 1~2명은 두려움이 지나쳐 공포까지 느끼게 된다.
아동 및 청소년의 약 5%가 과도한 걱정이나 불안 혹은 공포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남아보다 여아에게서 특정 공포증이 더 많이 나타난다. 발병연령이 아주 빠르며, 주로 아동기에 시작하는 경향이 있으며 어떤 사람들의 경우에는 성인기까지 지속되기도 한다.
공포 대상이 동물이나 곤충인 동물형 공포증은 다른 공포증에 비해 일찍 시작되며, 대체로 아동이기에 발생한다. 자연환경형 공포증은 동물형과 마찬가지로 아동이기 발생하고, 상황형 공포증은 주로 아동기와 20대 중반 두 시기에 발생한다. 상황형 공포증은 공황장애 등 심리적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5. 감별진단
① 광장공포증이 있는 공황장애
특정 공포증이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에 한정되어 공포가 나타는 것에 비해 공황장애는 불특정한 여러 상황에 걸쳐 확산적인 불안을 나타낸다. 또한 특정 공포증은 예기치 못한 공황발작이 없는 상태에서 여러 상황을 두려워하고 회피하는 반면에 공황장애는 먼저 예기치 못한 공황발작이 나타나고 이런 공황발작 때문에 여러 상황을 회피한다.
② 사회공포증
사회공포증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부정적 평가를 두려워하는데 비해 특정공포증은 특정대상이나 상황으로부터 받게 될 위해를 두려워한다. 예를 들어, 다른 사람들로부터 부정적 평가를 받을까봐 다른 사람들 앞에 나서는 것을 두려워한다면 이는 사회공포증으로 볼 수 있다. 반면 군중 속에 갇히게 되고 질식할까봐 사람들을 두려워한다면 이때는 폐쇄공포증으로 진단한다.
③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극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한 후에 회피가 나타나고, 외상의 재경험과 경직된 감정 상태와 같은 다른 부가적 증상이 함께 나타난다.
④ 강박장애
청결에 대한 강박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대상 자체를 두려워해서 피하기보다는 더러움과 오염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대상이나 상황을 회피하는 것이 다르다.
⑤ 건강염려증
건강염려증은 자신이 질병을 앓고 있다고 확신하고, 질병을 앓고 있다는 데 대한 두려움에 집착한다. 반면 특정공포증은 자신이 질병을 앓고 있다는 데 대한 확신은 없으며 단지 질병을 걸릴까봐 두려워하는 차이점이 있다.
6. 치료
특정 대상에 대한 공포를 갖지 않게 하려면 어려서부터 다소 두려운 동물이나 상황을 피하지 않도록 하는 생활자세가 중요하다. 부모의 양육태도도 어린아이들에게 그릇된 두려움을 갖지 않도록 교육해야 하고, 부모 스스로도 두려워하는 사물이나 상황에 대한 객관적 관점을 갖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만약 아이가 어떤 특정 대상에 대해 두려움을 갖고 있다면 우선 단계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공포상황에 직면하는 훈련을 해야 한다.
한의학에서는 아동의 신체와 정신의 발달이 오장육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특히 불안과 공포의 정서는 심장, 간장, 신장, 담낭 등의 장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선천적으로 심장과 담낭의 기운이 부족한 아이들은 타고난 기질과 성격이 소심하고 내성적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아이들은 평소 겁이 많고 잘 놀래며, 사소한 일에도 걱정을 많이 하고, 밤에는 무서워 혼자 자지 못하며, 어떤 일을 결정할 때 과단성이 없는 특성을 보인다. 이런 아이들에게는 심장과 담낭의 기운을 좋게 하고 인지발달과 정서안정에 도움이 되는 한약을 복용하면 효과적다. 아울러 나이가 어린 아동의 경우에는 미술치료, 놀이치료와 부모상담, 나이가 많은 아동의 경우에는 인지행동치료, 심리상담 등을 병행하는 것도 좋다.
구 분 | 제 목 | 키 워 드 |
강박장애 | 틱장애와 강박증이 함께 나타나는 아이 | 강박장애/강박증/강박증치료 | |
강박증 | 전학 후 힘든 학교생활로 인한 강박사고와 강박행동 | 강박증/강박증치료/강박장애 | |
뚜렛장애 | ADHD와 강박증을 동반한 뚜렛장애 | 강박증,뚜렛장애 | |
ADHD | 양약 복용 후 복통, 식용저하의 부작용이 발생한 ADHD | ADHD검사/ADHD원인/ADHD자가진단 | |
운동틱 | 눈동자를 굴리고 얼굴을 찡그리는 운동틱 | 운동틱/틱장애 | |
야경증 | 수면 중에 울고 소리를 지르는 야경증 | 야경증/불면증/불면증치료 | |
틱장애원인 | 형제간 경쟁으로 인해 발생한 틱장애 | 틱장애치료/틱장애치료법/틱병원 | |
뚜렛장애 | 상체와 팔다리를 경련하듯이 움직이는 뚜렛장애 | 뚜렛장애/뚜렛증후군 | |
뚜렛증후군 | 우울증을 동반한 뚜렛장애 | 뚜렛장애/뚜렛증후군 | |
단순 틱 | 눈주위를 씰룩거리고 헛기침하는 단순 틱 | 틱/틱장애/틱장애원인 | |
습관장애 | 습관장애,틱장애, 야뇨증을 동반한 아이 | 발달장애/발달지연/말이늦은아이 | |
분리불안장애 | 분리불안 증상을 보이는 아이 | 불안/불안장애/불안증 | |
ADHD/우울증 | ADHD,우울증,틱장애를 동반한 아이 | ADHD/ADHD검사/ADHD치료 | |
성인틱장애 | 성인기에 심해진 틱장애 | 성인틱장애/성인ADHD/성인ADHD치료 | |
언어장애 | 언어발달의 지연과 함께 나타난 틱장애 | 언어장애/언어치료/음성틱장애 | |
과잉행동장애 | 과잉행동이 심하고 충동적이다 | 과잉행동장애/주의력결핍 | |
뉴로피드백 | 뇌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한 틱장애 | 뉴로피드백/틱장애 | |
발달장애 | 신체화 장애로 인한 심한 전신경련 | 발달장애/발달지연 | |
주의력결핍 | 친구들과 자주 싸우고 주의집중을 못한다. | 주의력결핍/집중력장애 | |
청소년ADHD | 수업중에 돌아다니고 딴 짓을 한다... | 청소년ADHD/집중력장애/ADHD | |
'건강과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와 싸워서 이길 수 있는 식사방법 (0) | 2014.06.25 |
---|---|
[스크랩] 인체의 구조(사진) (0) | 2013.10.28 |
[스크랩] 뇌파 검사 (0) | 2012.09.10 |
[스크랩] 새벽에 응급실에 갔는데 돈이 없을땐 이렇게 하세요! (0) | 2011.10.29 |
[스크랩] 우울증 증세.. (0) | 2011.10.09 |